- 테마구분: 비철금속
- 주요 이벤트 / 이슈
- 2023년
- 6월
- 2023-06-13 스웨덴 Ronnskar 구리 제련소 화재로 전면 중단
- (1) 스웨덴 Boliden 광산 그룹의 가장 큰 시설인 [Ronnskar 구리 제련소(21.8만 톤/y)의 생산이 화재로 인해 전면 중단]되었다.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현장의 모든 생산은 중단될 예정이나, 회사는 몇 주 내에 생산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별 제련소 중단은 공급 부족 가능성이 있는 현재의 구리 수급 균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페루 4월 구리 수출은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17억 달러를 기록했다. (3)[칠레 Escondida 구리 광산은 최근 컨베이어 벨트 화재 이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4) 한 주간(~9일) LME 구리 선물에 대한 투기적 순매수 포지션은 3,104계약 늘어 4만 5,549계약이 되었고 6주 최고치를 나타냈다
- 2023-06-13 스웨덴 Ronnskar 구리 제련소 화재로 전면 중단
- 6월
- 2024년
- 2024-08-22, 중국 전기동 생산은 예상보다 견조하나 시차를 두고 둔화 중
- 중국 전기동 수요는 혼조
- 중국 명목 구리 수요(중국 내 생산+순수입-재고 변동)의 증가세는 급격히 둔화 중. 단 이는 5~6월 중국의 차익거래로 인한 전기동 수출 증가에 따른 것
- 건설 부문 외 중국의 구리 수 요 증가율이 견조함을 나타내고 있으나, 중국 내 수요의 47%를 차지하는 전력 부문 중 전력망 인프라 수요는 대부분 알루미늄 비중이 높은 UHV(초고압송전선)에 집중 된 것으로 나타남. (구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대체재]로 알루미늄 활용)
SGCC(중국국가전력망공사)의 알루미늄 전선 입찰은 40% 증가한 반면 2분기 구리 전선 구매는 연기된 것으로 전해짐. 또한 구리 전선 업체들의 2분기 매출도 20% 감소 - 구리 가격 전망
- 중국 전기동 수요는 혼조
- 2024-08-22, 중국 전기동 생산은 예상보다 견조하나 시차를 두고 둔화 중
- 2025년
-
2025-02-25, 2월 25일 트럼프 미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수입산 구리가 국가 안보에 미칠 영향을 조사하라 지시했다.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구리는 정광의 대부분이 칠레와 페루에서 생산되며, 정·제련 과정을 거친 전기동의 경우 43%가 중국으로부터 나온다. 반면, 미국의 정광 및 전기동 공급 비중은 6.1%와 3.8%에 그친다. 전체 수요 중 45%가 수입산인 점까지 감안하면 관세(25%)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환경이다.
중요한 점은 수입산에 대한 관세 부과 우려는 미국 내 기업들로 하여금 [선수요를 일으킨다는 점]이다. COMEX-LME 구리 가격 스프레드는 톤당 500달러 이상 벌어지고 있다. 높아진 미국 내 현물 프리미엄, 금과 마찬가지로 미국 내 기업들이 구리 수입을 사전적으로 늘리기 시작했다는 의미이다. 시장에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조정 받는 구간으로 구리 역시 피하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위 사항을 감안하 면 오히려 저가 매수에 매력적인 구간이다. 다시 한번 전고점을 기대할 시점이다.
-
2025-03-13,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의 수출을 승인하겠다고 발표
▶ 코브레 파나마 광산은 캐나다 광산회사인 퍼스트 퀀텀(FM, First Quantum)과 한국광해광업공단이 공동소유한 광산으로,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의 약 1.5%를 차지함
퍼스트 퀀텀은 이번 승인으로 광산 부지에 보존된 약 12만 톤의 구리 정광을 해외로 선적할 예정이며, 파나마 정부는 원활한 수출을 위해 퍼스트 퀀텀이 운영하는 300MW 규모의 화력발전소 가동을 허가한 상태임
-
2025-03-26, 전기동: [구리 관세 위협]으로 인해 미국으로 대규모 구리 선적이 이루어지면서 [아시아 구리 시장이 긴축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 구리 수입량이 보통 월 7만톤이었던 것과 다르게 현재 약 50만 톤의 구리가 미국으로 향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에 따라 중국 구리 수입 수요를 나타내는 양산항 프리미엄은 이번달 거의 두배(2월 27일 $35→3월 20일 $65) 증가했고, 동남아시아 수입 프리미엄은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로 상승한 상황이다.
LME 구리 재고 또한 아시아 창고를 중심으로 지난 4주간 18% 감소했고, 심지어 전체 재고 중 출고 예정 재고의(Cancelled warrant) 비율이 50.2%에 육박하기 때문에 향후 11만 톤이 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5-07-31, 미국 구리 반제품에 50% 관세 부과, 정제 구리는 ‘미정’
구리 반제품(semi-finished copper products)과 집중 구리 파생제품 (intensive copper derivative products)에만 50%의 관세를 부과 - 구리 재료(copper input materials)와 고품질 구리 스크랩(highquality copper scrap)은 관세 대상 품목에서 제외, 단계적으로 의무적 국내판매 비중을 적용가장 중요한 정제 구리(refined copper)는 ‘미정’ 상태로, 2027년 1월 1일부터 15%, 2028년 1월 1일부터 30%의 단계적 관세가 제안. 2026년 6월 30일 추가 보고 후 대통령 결정에 따라 확정
▶ 공급망 충격과 인플레이 션을 최소화하려는 의도
결과적으로 단기적 구리 가격 하방 압력의 근거가 되었던 미국 외부(글로벌) 구리 관련 과잉공급 우려가 줄어들었습니다.
COMEX 가격도 급락했지만 10,000달러/톤 부근에서 추가 하락을 멈췄고, 이는 LME 가격과의 프리미엄을 해소하는 수준입니다.
미국에 반제품 재고나 생산 설비를 보유한 업체는 수혜라고 판단합니다. 관세로 미국 내 반제품 가격은 상승하는 반면, 원재료(구리)는 저렴해지기 때문입니다. 현지 생산설비 또는 재고를 보유한 전선 업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 2023년
-
기본정보
-
세부내용
- 구리(동)는 세계경제의 상황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인간에게 잘 알려진 비철금속 중 하나로 철과 알루미늄 다음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동은 주요 비철금속 중의 하나로 250여가지 광석에서 산출되나 주요 경제광석은 황동석이다. 동 광산의 대표적인 것은 반암 동광산으로 서방세계 동 광산의 76%가 해당된다. 현재가격 하에서 경제성이 있는 매장 광량은 474,000톤(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기준)이며, 주요 부존국은 칠레, 미국, 중국, 페루 등이 있다. 구리의 약 80%는 순수한 금속상태로 사용되며, 그 대부분은 전기공업에 사용된다. 또한 건설 및 산업용 기계에도 이용되고 있고 재 활용 면에서도 우수성을 보이고 있다. 구리는 채광 기술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고, 국가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구리의 생산과 소비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도 한다.
- “Copper”라는 단어는 중요한 비철 산지였던 지중해에 위치한 Cyprus(사이프러스)섬에서 유래되었다. 1만 년 전부터 사용된 구리는 인간에 의해 사용된 가장 오래된 비철금속이다. 고고학자들은 이집트의 Cheops의 피라미드에서 5천년이 지났음에도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상수도 구리배관을 발견해 화 제가 되기도 했다.
- 구리는 우수한 전기 전도율를 가지며, 부식방지에 탁월하고, 유연하기 때문에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산업용 비철금속 중 하나다. 여러 가지로 합금이 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보통 [황동|황동] 및 청동 (bronze)이 가장 중요하며 금속 동과 더불어 기계부품/건축/가구/장식/화폐 등 용도가 광범위하다. 전기배선 관련 구리의 소비량은 전체 구리소비량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구리는 표면에서 박테리아가 자랄 수 없는 재료이기 때문에 에어컨시스템과 식품조리기의 표면, 그리고 질병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문 손잡이로도 사용된다.
- 한편 시간이 지날수록 구리 생산량은 점차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생산 기술의 문제와 노동자 파업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구리 생산 설비 가동률의 증가와 새로운 생산 공법으로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제련된 구리는 중국, 일본, 인도의 꾸준한 수요 증가로 인하여 2012년 이후에도 증가할 것으로 시장은 전망하고 있다.
-
생산공정
- 구리의 생산공정은 채굴, 제련, 정련 단계를 거침
- 글로벌 공급의 40%를 차지하는 칠레와 페루광산에서 생산되며, 여기서 채굴된 구리광석은 순도 24~25%의 구리정광으로 가공됨
- 이렇게 가공된 구리정광은 다기 제련소로 옮겨지는데, 정광의 40%가 대형제련소를 갖춘 중국으로 보내진다.
- 정광은 다시 용해과정을 거쳐 철, 유황 등 불순물을 제거해 구리 순도 99%의 조동으로 제작되며, 잔류유황과 불순물을 제거해 구리 순도 99% 양극형태로 주조된다.
- 만들어진 양극은 다시 전해액에 장입하고 직류 전류를 통해 음극에 전착하므로써 99.99%의 고순도 구리로 생산된다. 이를 다른말로 전기동이라고 한다.
-
가격변수
- 상승요인
- 달러 약세→ 인플레 헤지를 위한 투기자본유입 → 가격 상승요인
- 유가상승 → 인플레 헤지를 위한 투기자본유입 → 가격 상승요인
- 경기 호황,경기 회복 → 산업생산증가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 소비 증가(특히 중국으로 부터) → 재고량 감소→ 가격 상승
- 구리 광산 파업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 일반적으로 남미의 광산 노조의 임금계약은 3년마다 갱신됨
- AISC가 구리가격을 상회하는 상황이면 사측의 협상능력이 낮아짐
- 이 경우 노조파업이 장기화되면서 구리 생산에 차질을 가져옴
- 이는 글로벌 구리 공급의 불확실성으로 작용하면서 가격상승 요인이됨
- 경기부양(특히 중국의 부동산 관련)책 사용 → 산업생산증가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 증세 리스크 → 광산업에 대한 증세(누진세) → 설비 투자 감소, 비용 전가 → 가격 상승
- 엘니뇨 발생 → 폭우 발생 → 칠레와 페루 광산 조업 및 수송 차질 → 생산량 감소 → 가격 상승
- 하락요인
- 상승요인
-
수급
-
UP side
-
대체수요
-
구리 업,다운스트림 유통 매커니즘
-
관련종목
-
주가와 산업의 연관성
- 구리 가격이 지지 될 요인
- 매년 1분기 구리는 중국 중심의 재고 비축기 도래에 따른 재고 계절성으로 인하여 구리 수요가 증가할 전망
- 위안화 강세 역시 구리가격 증가 요인인데,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은 10년물 국채 금리 반락을 유도하고, 이로 인하여 마-중 금리 역전폭 축소로 위안화의 가치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음
- 위안화의 강세는 최대 비철 소비국인 중국의 구매력을 개선 시킴과 동시에 1분기 재고 비축기 동안 중국의 수입 모멘텀을 강화 시킬 전망